레쭈고 파이썬

파이썬 2장 - 1

정땅미 2024. 2. 21. 03:43

파이썬 2장은 전에 미리 예고했듯이 양이 엄청납니다 ㅋㅋㅋㅋㅋㅋ

읽기에도 힘드시겠지만 제가 열심히 정리해 볼게요...

 

일단은 숫자형입니다.

파이썬은 정수형에서 양의 정수, 음의 정수, 0 이렇게 있어용! 이건 너무 기본적이죠?

다음은 실수형이에용 실수형도 똑같아요 근데 대박인 게 있어요!!!!!! 저는 e나 E를 볼 때 진짜 뭘까 라고 항상 생각을 했어요..

근데 대박인 걸 발견했어요 이게 E10 -> 10의 10제곱 / e-10 -> 10의 -10제곱 이렇게 나타낸다는 거예요

저는 자바를 배울 때도 몰랐는데 이걸 이제 알아서 신기했다는 사실... 크크......................

네 그리구 8진수와 16진수예용

8진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숫자 0 + 알파벳 소문자 o 또는 대문자 O 이렇게 하면 된대용

16진수는 0x를 사용하래요! 이걸 열심히 공부했는데 별로 잘 안 쓰인다구 해서 슬펐어요 ㅠ..ㅠ

다음은 사칙연산입니닷.

제가 1장에서도 +, /, * 는 설명을 드렸어요! 요기서 또 뭔가가 생겼어요 바로 ** 인데용

이것은 x의 y제곱을 나타내는 연산자래용 예를 들면 a=3 b=4 a ** b 하면 3의 4제곱인 81이 나오죠 이해 완?!

% 연산자는 나머지를 리턴하는 연산자입니다. 자바에서도 배웟으니 패스~!

/ 연산자는 몫을 리턴하는 연산자인데용? 이것도 자바에서 배웠지만 설명해 드리면 파이썬에서는 / 이건 몫을 소수점까지 리턴하구여 // 이걸 두 개 해주면 정수만 딱 잘라서 리턴해 줍니다*=*

 

다음은 문자열 자료형입니다. 베벳.. 벌써부터 어려우신 건 아니져?ㅎㅎ

우선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총 네 가지가 잇어용

1. " " 큰 따옴표로 감싸기

2. ' ' 작은 따옴표로 감싸기 

3. """ """ 큰따옴표 세 개로 감싸기

4. ''' ''' 작은따옴표 세 개로 감싸기

이렇게 있대용.... 근데 3, 4번은 주석을 할 때 썻던 것 같은데 그건 에디터에서만 작동하는 걸까용?

방금 검색해 보니 3, 4번은 주석하는 것 같아용!

자 다음으로 문자열 안에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가 들어가야 하는 상황입니당

예를 들면 Python's favorite food is perl 이라구 해 봐용! 작은 따옴표가 들어간 상황이잖아용? 그럴 땐 큰따옴표로 문장을 감싸용 작은 따옴표로 감싸게 되면 에러가 뜬대요ㅜㅜ

반대로 큰따옴표가 포함된 상황이라면 작은 따옴표로 감싸면 돼요! 또한 역슬래시를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 앞에 삽입하면 문자열에 포함시켜 준대용 오 신기한 것 같아요~!

만약 줄을 바꾸고 싶다면 역슬래시n을 삽입하면 되는데용 이건 띄어 쓰지 않구 그대로 쓴대용

"Life is too short\nYou need python" \n 이걸 역슬래시n이라고 생각해 주세용 ㅠ 역슬래시가 안 돼용 ㅜ.ㅜ

하지만 역슬래시n을 사용하게 되면 문장도 길어지구 읽기도 힘들어져서 파이썬에서는 ''' ''' / """ """ 를 사용하는 거예요!

오잉 그럼 주석이 아니었나.. 이 부분은 제가 좀 더 알아보고 따로 블로그를 작성하겠습니다! ㅎㅎ

이제 다음입니당. 문자열을 더해서 연결하기 위해서는 + 기호를 사용해 줍니닷. 

문자열을 두 번 연속해서 작성하고 싶을 때는 * 를 사용해요. 문자열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len이라는 함수를 이용해용

이 때 문자열 길이에는 공백도 포함된다는 점을 꼭꼭 기억해요! ex) len(a)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돼용 a 에는 문자열을 대입해둔 상태라는 가정 하에!

다음은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이래욤 인덱싱 = 가르킨다. 슬라이싱 = 잘라 낸다. 이런 의미잖아용!

우선 파이썬은 숫자를 0부터 센다는 가장 중요한 것을 기억해 주시구요!@!

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

a[3] 이렇게 해주면 값은 e가 나와용 왜냐하면 파이썬 숫자는 0부터 시작하니까요! 그리고 이 작업을 인덱싱이라고 해용

a[번호] 이 안에 번호를 입력하면 원하는 알파벳을 출력할 수 있어용 여기서 -(빼기) 이 기호를 붙이면 뒤에서부터 읽는다는 것을 의미해용.. 이건 좀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라 집중해요!!!!!!!!!!!!!!!!!

a[-1]을 하면 어떤 알파벳이 나올까요? o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정답은 n이에요!

왜냐하면 0이나 -0은 같기 때문에 이 두 개는 똑같은 L이라는 값을 보여줘용 그래서 -1은 뒤에서부터 바로 세는 거예요!!!!!

이런 식으로 진행됩니다.ㅎㅎ 문자열 슬라이싱은 무엇일까용?

a[0:4] 이렇게 작성하는 게 슬라이싱 기법이에용! 번호 0번째 자리부터 3번째 자리까지만 출력하는 거예요!

여러분들의 생각으로는 "Life " 이렇게 공백까지 출력해야 맞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"Life" 이렇게만 출력돼용

왜냐하면 4는 포함되지 않아요! 그러니까 0 <= a < 4 이런 식으로 표현하는 게 맞을 것 같아용

앞 숫자는 포함하구 뒷 숫자는 포함하지 않아요! 이해가 되시죠?! 그래서 절대 헷갈리면 안 되구, a[0:4] 요기의 숫자들은 인덱싱 번호랍니다. 번호는 0부터 시작하는 것두 잊지마용!

a[19:] 이런 식으로 끝 번호를 생략하면 시작 번호부터 문자열 끝까지를 다 프린트해용!

a[:17] 이런 식으로 시작 번호를 생략하면 처음부터 끝 번호까지를 프린트해용!

a[:] 이런 식으로 시작 번호와 끝 번호를 다 생략하면 문자열을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프린트합니닷!-!

슬라이싱과 인덱싱에서도 -(빼기) 이 기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걸 사용하면 너무 어려워지더라구요 ㅜ.ㅜ 

하지만 -(뻬기)에서도 마찬가지로 끝 번호는 포함하지 않아요! 

 

아직 조금 밖에 작성을 못했는데 벌써 이렇게나 길어져서 내일 파이썬 2장 - 2 를 또 작성할게요 

파이썬 2장이 몇까지 나올지 정말 궁금하지만 열심히 파이썬을 완독하는 날까지 달립니다. 아좌좌......

모두 빠이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

'레쭈고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파이썬 2장 - 5  (1) 2024.02.28
파이썬 2장 - 4  (1) 2024.02.26
파이썬 2장 - 3  (1) 2024.02.24
파이썬 2장 - 2  (1) 2024.02.22
파이썬 1장  (2) 2024.02.21